29일 오전 발생한 무안국제공항 여객기 참사의 원인으로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에 의한 기체 고장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사고 당시 국토교통부가 착륙 직전 조류 충돌에 주의할 것을 통보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이러한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그러나 조류 충돌로 인해 한쪽 엔진이 고장 난 것 외에도 다른 엔진 및 제동장치가 모두 작동하지 않은 점이 드러나면서 정확한 사고 원인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이날 사고기는 오전 8시 54분 무안공항 1번 활주로에 접근해 첫 착륙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관제탑의 조류 충돌 경고를 받은 뒤 복행(Go-around)을 시도했다. 이어 8시 59분 조난신호 ‘메이데이’를 보내고 9시 정각 반대 방향 활주로(19번 활주로)에 착륙을 시도했으나, 랜딩기어를 내리지 못한 상태로 활주로에 접지해 사고가 발생했다.
전문가들은 랜딩기어 미작동이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데 동의하고 있다. 한 항공 전문가에 따르면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으면서 속도가 줄지 않은 채 충돌했다”며, 비행기의 역추진 장치와 에어브레이크 장치 역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다른 항공 전문가도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으면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장치가 사라진 것과 같아 동체 착륙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조류 충돌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지만, 조류 충돌만으로 랜딩기어를 비롯한 주요 시스템의 고장을 모두 설명하기는 어렵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한 전문가는 “새가 엔진으로 들어가 유압 시스템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으며, 또 다른 전문가는 “조류 충돌로 인해 랜딩기어 작동이 어려워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는 “조류 충돌이 발생해도 나머지 엔진이나 보조 시스템이 작동해야 정상”이라며, 다중 시스템 결함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고가 단일 원인으로 설명되기 어렵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 항공 전문가는 “랜딩기어 3개가 모두 작동하지 않는 경우는 매우 드문 현상”이라며, “조류 충돌 외에도 기체 결함이나 정비 불량 가능성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항공기는 설계 철학상 단일 결함으로는 추락하지 않도록 설계된다”며, 다중 시스템의 동시 결함을 지적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무안국제공항의 활주로 길이가 사고 피해를 키웠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항공 전문가는 “활주로 끝까지 도달했지만 정지하지 못했다”며, “무안공항 활주로가 짧아 사고의 심각성을 키웠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국토부는 “무안공항 활주로는 2,800m로 국제 기준에 부합하며, 이전에도 항공기가 운행한 적이 있다”고 반박했다.
현재 국토교통부와 항공안전기술원은 사고 원인에 대한 정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조류 충돌, 기체 결함, 정비 불량 등 모든 가능성을 철저히 검토해 사고 원인을 규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